본문 바로가기

업종별 정보/농수산식품가공

UN에서 선포한 "가족농의 해"가 올해라는 것, 알고 계시나요?

유엔이 올해를 ‘가족농의 해’로 선포했다는 얘기를 들으면 도시인들은 대체로 이런 반응을 보인다. “가족농? 그게 뭔데?”


가족농(family farm)은 말 그대로 가족을 기반으로 농업 활동을 하는 농가를 일컫는다. 소농·고령농 등이 포함된 개념이다. 과거에는 가족 단위로 농사를 짓는 것이 지극히 당연했다. 모든 것이 바뀐 것은 이른바 글로벌 푸드 시스템이 등장하면서다. ‘종자에서 식탁까지’ 자본이 먹을거리의 생산·유통 과정을 모두 장악하게 되면서 가족농은 ‘을(乙) 중의 을’로 전락했다. 여기에 시장 개방까지 겹치면서 1980년 1083만명이던 한국 농가 인구는 30년 만에 290만명으로 격감했다. 곡물자급률 또한 OECD 32개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23.6%, 2012년 기준). 그사이 정부는 ‘억대 농부’로 상징되는 기업농·전업농을 육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며 끊임없이 가족농을 구조조정하려 들었다.

 ⓒ시사IN 조남진가족농과 관계 맺는 도시 소비자가 늘고 있다. 위는 농가 체험 중인 가족." src="http://www.sisainlive.com/news/photo/201408/21167_41666_852.jpg" style="border: 0px none;"> 
ⓒ시사IN 조남진
가족농과 관계 맺는 도시 소비자가 늘고 있다. 위는 농가 체험 중인 가족.


이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지난 역사가 증명한다. 그간 정부가 수십조원대 지원금을 쏟아 부었지만 농가의 다수를 점한 것은 여전히 영세소농 등 가족농이다(전체 농가의 66.1%가 1㏊(3025평) 미만 경지 소유). 도농 간 소득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도시 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중은 1980년 95.9%에서 2012년 57.6%로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가족농의 해’라니, 한편으론 아이러니하다.

유엔은 세계적인 식량 수급 불안을 해결하는 데 가족농의 구실이 중요하며,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가족농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촌의 가치를 지키는 핵심에 가족농이 있다고 본 것이다. 이미 우리 주변에서는 가족농이 중심이 되어 지속 가능한 농업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도시 소비자로서는 이들과 탄탄한 연대를 맺는 것이야말로 ‘안전하고 믿을 만한 먹을거리’를 지키는 유일한 길인지도 모른다. 쌀시장 개방 시대, 가족농이 사는 법에 주목하는 이유다.  

 

출처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67

364호] 승인 2014.09.11  08:46:28

김은남 기자  |  ken@sisain.co.kr